-
엔지니어의 무기-1DescribingHipgineer 2021. 8. 16. 19:09
엔지니어들이 문제를 해결하는 법 - 1) 구조적 사고방식
엔지니어들, 우리는 문제의 '구조'를 파악하는 눈을 가졌다. 이 눈이 어떤 것인지 굳이 설명해보려면, 엔지니어의 주된 업무를 먼저 생각해야한다. 우리의 주된 업무는 어떤 주어진 문제를 수학/과학적인 지식을 기초로 분석하고 기능을 실용적으로 개발해내는 것이다. 거창한가..? 소소하게 얘기하자면, 결국 어떤 목표 기능을 구현해 내기 위해 머리를 굴리는 것이다.다시 말하면, 우리는 기능구현을 위해 구조적으로 사고한다. 어떤 문제를 맞닥뜨리면 어떻게 해야 이 문제를 해결할 기능을 구현할 수 있을지 고민한다. 필요한 주요 요소는 무엇이며, 각 요소가 "논리적, 시간적, 기능적으로" 어떻게 연결될지를 고민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서 "자동차가 앞으로 가는 것"(=문제)을 구현하기 위해 바퀴나 엔진(=요소)이 필요할 것이며, 바퀴와 엔진의 기어비(=요소간 연결)가 어느정도가 되야할지를 생각하는 것이다. 그렇게 우리는 직감적으로 문제의 규칙을 찾고 모델을 만들어 내는데 익숙한 사람들이다.
이 구조화 작업은 매우 중요하다. 기능을 실제로 구현하고 시험할 경우, 구조화된 틀을 기준으로 점검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엔지니어들은 조화된 시스템을 설계도 따위의 시각적 자료를 생산한다. 이를 기초로 기능을 실제로 구현하며, 기능이 실용적인 목표를 이룰 수 있도록 설계도와 비교하여 유지보수를 해나간다. 그래서 공학문제를 해결할때는 미세한 세부사항을 다루든, 추상적 개념을 다루든 간에 구조적 논리를 선제적으로 적용한다.
맞닥뜨릴 어려운 일들에 적용할만한 체크리스트를 공유한다.
● 무엇을 시도하고자 하는가? 전문용어를 사용하지 말고 목표를 표현하라.
● 오늘은 어떻게 진행되었는가? 그리고 현재의 방법이 지닌 한계는 무엇인가?
● 당신의 접근방식은 어떤 점이 새로운가? 그리고 왜 그것이 성공적일 거라고 생각하는가?
● 누구를 위해서인가? 성공한다면 어떤 변화가 생길 것인가?
● 위험은 무엇이고 보상은 무엇인가?
● 비용이 얼마나 들 것인가? 얼마나 오래 걸릴 것인가?
● 성공 여부를 체크할 수 있는 중간 시험과 기말 시험은 무엇인가?
'DescribingHipgine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지니어의 성장단계: 기술자와 공학자의 차이 (0) 2021.08.28 커뮤니케이션 (0) 2021.08.14 내 전공이 권태롭다 (0) 2021.08.09 AI가 다 할거야! (0) 2021.08.07 젊은 엔지니어 (0) 2021.08.06